김영갑, 그는누구인가?
1957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서울에 살며, 1982년부터 제주를 오르내리며 제주사진 을 작업하다 그곳에 매료되어
1985년 아예 섬에 정착, 제주와 마라도 등 섬 곳곳 그의 발길이 미치치 않은 곳이 없다.노인과 해녀,오름과 바다,들판
과 구름, 억새 등 그가 사진으로 찍지 않은것은 제주도에 없는것이다.창고에 쌓여 곰팡이 꽃을 피우는 사진들을위한
갤러리를 마련키 위해 버려진 폐 분교를 구하여 초석을 다질무렵,
언재 부턴가 사진을 찍기위해 셔터를 눌러야할 손이 떨리기 시작하고 허리에 통증이 왔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루게릭 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3년을 넘기기 어렵다는 진단을... 일주일동안 식음을 전폐하고 누웠다가 ..자리를
털고 일어나 퇴화하는 근육을 놀리지 않으려고 손수 몸을 움직여 갤러리 만들기에 열중, 2002년 여름 문을 열었다.
그리고....
투병생활을 한지 6년 만인 2005년 5월 29일, 김영갑은 그가 손수만든 두모악 갤러리에서 고이 잠들었고 그의 뼈는
두모악 갤러리 마당에 뿌려졌다. 이재 김영갑은 그가 사랑했던 섬 제주,
그 섬에 영원히 있다.
제주에 홀리다~!
어머니 젖가슴 같은 오름과 소리쳐 울 때가 더 아름다운 제주바다를 처음 만나곤 열병을 앓았다.지독한 사랑의
시작이었다.소름끼치는 그리움 때문에,샛살림 하듯 오가는 것으로 갈증만 더할 뿐이어서 서울살이를 접고 아예
제주에 둥지를 틀었다. 1982년 부터 3년동안 서울과 제주를 오가며 제주사진을 찍던 끝에 내린 결단이었다.
신내림 받은 무녀처럼 섬을 헤집고 다니며 제주의 얼과 속살을 카메라에 받아적었다.중간 산마을 에서는 단편
처럼 살다가는 쪽달과 들벌레 야윈 곡소리,현무암 쪼개는 마른 번개를 담았다. 용눈이 오름 흐벅진 굼부리에
들어가서는 카메라를 놓고 하루종일바람과 살았다. 시간이 갈수록 영토가 늘어났다. 마라도와 우도가 영지로
편입되고 해녀를 비롯해사라져 가는 제주의 풍경들이 새로운 식솔이 되었다.
필름에 미치다~!
홀로,필름에 미쳐 돌아다니는 댕기머리가 낯선 사람들이, 간첩으로 오인해 경찰을 부르기도 하고가수로 착각해
사인 종이를 내밀기도 했다. 한 10년 도 닦는 마음으로 찍자고 한것이 15년을 훌쩍넘기면서 재산이 늘었다.
빌어먹어도 필름을 사고, 인화지 살 돈만 있으면 행복하기만 한 15년 세월 동안 제주사진 2만컷이 남았다.
가끔씩 서울로 올라와 자신의 영지에서 기른 식솔들을 사진전 이라는 이름으로 풀어 놓았다.
갤러리 앞마당에 내가 간날 몹시 바람이 불어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를 연사로 찍어 gif파일로 올려봤다 .
휴식공간으로 만들어놓은 마당
그가 늘 사진작업을 하던 공간의 의자와 책상, 그는 숨을 거둘때도 이 의자 에서 숨을 거뒀다.
평생을 홀로 사진과 살다간 사진쟁이 김영갑의 생전에 오름과 들판을 누비던 모습
갤러리입구 풍경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해 만든 갤러리는 아담하고 깔끔하게 꾸며져 있고 가족이 없던 그는 후배가
그 갤러리를 이어 맡아 운영하며, 그에 사진인생을 재조명하고 사진작품을 알리는 일을 해 나가고 있었다.
마당의 풍경이다.
감나무에 감이 예쁘면서도 가는가을을 아쉬워 하는듯 ...스산해 보인다.
마당 한켠에 흐드러지게 피어 흔들리는 예쁜 해국이..가고 없는 주인을 대신하여 방문객을 반기는 듯 하다.
각종 파노라마 필름 사진작품과 그에 생전모습이 담긴 제주사진들
과 사진에 대한 죽기전 그가 영상으로 남긴 멧세지 들을 영상으로 볼수도 있으며
뒷쪽 공간엔 무인까페가 있어 직접 커피나 차를 타먹고 요금은 요금함에
넣을수 있고 특히 분위기가 사진찍기가 좋아 가족이나 연인들,
여행객들이 한번쯤 들려볼만한 갤러리 이다.
관람시간은 - 오전9시30분 부터 봄가을엔 오후 6시까지 여름엔 7시까지 겨울엔 5시까지 열고
7,8월을 뺀 매주 수요일은 휴관한다.
입장료는 어른 3,000원(단체 15인 이상2,000원), 청소년 ,도민,유공자,(2,000원) 어린이 : 천원
성산읍민과 장애인은.무료이다
김영갑갤러리 :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437-5
Tel : 064-784-9907
www.dumoak.com
|